상품 위험등급 |
1등급 (매우높은위험) |
2등급 (높은위험) |
3등급 (다소높은위험) |
4등급 (보통위험) |
5등급 (낮은위험) |
6등급 (매우낮은위험) |
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고객 투자자성향 | 공격투자형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적극투자형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위험중립형 | ![]() |
![]() |
![]() |
||||
안정추구형 | ![]() |
![]() |
|||||
안정형 | ![]() |
고객 투자성향 | 공격투자형 | 적극투자형 | 위험중립형 | 안정추구형 | 안정형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금융투자상품 위험등급 | 1등급 (매우높은위험) |
2등급 (높은위험) |
3등급 (다소높은위험) |
4등급 (보통위험) |
5등급 (낮은위험) |
6등급 (매우낮은위험) |
|
펀드 (집합투자증권) | 1등급 (매우높은위험) |
2등급 (높은위험) |
3등급 (다소높은위험) |
4등급 (보통위험) |
5등급 (낮은위험) |
6등급 (매우낮은위험) |
|
일반채권 | 국내 (채권 신용등급) |
B+ 이하 또는 무등급 |
BB+ 이하 | BBB+이하 | A+이하 | AA-이상 | 국공채 등 주1) |
해외 (국제신용등급) |
B+ 이하 또는 이머징통화 채권주2) |
BB+이하 | BBB+이하 | A-이상 | A-이상 국채 | ||
해외채권 위험등급은 미국 달러 및 달러 인덱스 구성통화주3) 기준(환율변동성 반영)이며 |
|||||||
조건부자본증권 (상각, 전환) |
신종 (발행사 신용등급) |
AA+(발행사) 이하 |
AAA(발행사) | 정부손실보전기관주4) | |||
후순위 (발행사 신용등급) |
AA+(발행사) 이하 |
AAA(발행사) | 정부손실보전기관주4) | ||||
조건부 자본증권은 일반채권의 원칙을 준용하되 자본성 및 유동성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해외 조건부자본증권의 경우 별도 기준 적용 |
|||||||
CP, 전자단기사채 | B(0)이하 또는 무등급 |
B+이하 | A3+이하 | A2+이하 | A1 | A1 [정부(국가) 보증) |
|
RP | 달러RP | 원화RP | |||||
파생결합증권 | 파생결합증권은최대원금손실 가능금액 이외에도 시장 · 신용위험, 상품별 세부조건, 환율 및 유동성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가적인 위험등급 상향 가능 |
||||||
일반 ELS/DLS |
종목형 원금비보장 (최대원금손실 20%초과) |
지수형 원금비보장 (최대원금손실 20%초과) |
원금 부분지급 (90%미만 ~ 80%이상) |
원금 부분지급 (90% 이상) |
|||
신용연계 DLS |
만기 2년 초과 신용연계 DLS |
만기 2년 이하 신용연계 DLS |
|||||
통화연계 DLS |
Dual Currency DLS | ||||||
ELW | 국내(해외) ELW | ||||||
ETN | 국내외 ETN | ||||||
파생결합사채 | ELB/DLB | 파생결합사채는 발행사의 신용등급(국내 일반채권 참조) 분류에따름 [해외신용등급 기준만 있는 경우 별지 상품별 위험등급 채무증권 산정기준 참조] |
|||||
신탁 | 단일 상품 편입: 편입 금융투자상품의 위험등급, 복수 자산 편입: 편입된 금융투자상품별로 위험등급 부여 |
||||||
주식형 | 해외주식, 1등급 국내주식, 신용등급 E이하 국내 주식 (당사 위험도 분류 기준) |
2등급 국내주식 (당사 위험도 분류 기준) |
|||||
예금 | 국내 은행(AA+이하) 예금 저축은행 예금 지역농협 예금 |
국내 은행(AAA) 예금 | |||||
기타 | 별지 상품별 위험등급 산정 기준에 따름 | ||||||
Wrap | 일반: 편입가능한 투자대상 자산의 최고 위험등급, 포트폴리오형: 각 상품별 편입 비중에 따라 가중평균 |
||||||
주식형 | 해외주식, 1등급 국내주식, 신용등급 E이하 국내 주식 (당사 위험도 분류 기준) |
2등급 국내주식 (당사 위험도 분류 기준) |
|||||
채권형, ELS/DLS형, 펀드형, ETF형 |
별지 상품별 위험등급 산정 기준에 따름 |
||||||
자산배분형, ISA, 연금 |
각 상품별 편입 비중에 따라 가중평균하여 전체 투자일임계약의 위험등급으로 적용 |
||||||
지점운용형 | 프로주식랩, 프로PB랩 |
||||||
MMW | MMW | ||||||
주식 | 국내 | 신용거래, 관리종목 투자주의·경고· 위험종목 K-OTC·KONEX 비상장종목 |
일반종목 | ||||
해외 | 해외주식 | ||||||
ETF | 국내 | 파생형 ETF (인버스,레버리지 등) |
일반 ETF | ||||
해외 | 해외상장 ETF | ||||||
파생상품 | 국내 | 국내 선물/옵션, CFD, 장외파생주5) | |||||
해외 | 해외 선물/옵션, FX마진, CFD, 장외파생주5) | ||||||
퇴직연금상품 | 디폴트옵션 | 초고위험 | 고위험 | 중위험 | 저위험 | 초저위험 | |
디폴트옵션 가이드에 따라 개별상품의 위험등급을 가중평균한 포트폴리오의 위험도 적용 | |||||||
원리금 비보장 | 파생결합증권(ELS/DLS), 주식, 채권, 집합투자증권 등 편입되는 금융투자상품의 위험등급 분류기준에 따름. | ||||||
원리금보장 | 원리금보장 파생결합사채(ELB, DLB)는 당사 분류체계(발행사 신용등급 등) 기준을 따름. | ||||||
국내 은행(AA+이하) 예금 저축은행 예금 지역농협 예금 | 국내 은행(AAA) 예/적금 GIC, 현금성자산 |